반응형
글로벌 NFT 시장에서 샌드박스의 위치
- 전세계 NFT시장에서 샌드박스는 7위에 랭크
- BAYC, Crypto Punks, MAYC, Meebits 등의 PFP를 제외시 유틸리티가 확실한 NFT는 더 샌드박스와 디센트럴랜드 정도 (Otherdeed는 BAYC의 유가랩스에서 발행한 랜드로 아직 구체적인 로드맵이나, 게임 개발 진행상황이 없어 제외)
샌드박스 구성 토큰
- 샌드박스는 랜드 토큰, 샌드 토큰, 에셋 토큰, 젬 토큰 및 카탈리스트 토큰으로 구성
- 랜드토큰과 에셋토큰은 NFT이며, 젬과 카탈리스트는 사용하면 소각되는 소모성 토큰
166,464개의 유한한 랜드
- 샌드박스 유니버스에는 총 166,464개(408 X 408) 규모의 랜드가 존재하며, 비트코인이 21백만개로 유한하듯이 랜드의 수량도 유한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샌드박스의 발전 속도에 맞춰 랜드의 가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아래 사진에서의 검정색 부분은 아직 랜드세일이 이뤄지지 않은 부분으로, 랜드세일 완료시 녹색?으로 채워질 예정
- 전체 166,464개 중 74%(123,840개)는 랜드세일을 통해 시장에 판매될 예정이며, 16%(25,920개)는 리저브(파트너, 크리에이터 및 게임참여자에 대한 보상)로 활용될 예정이고, 남은 10%(16,704개)는 샌드박스의 재산으로 포함되어 이벤트 등에 사용될 예정이라고 함
- 1인당 랜드 소유 수량에는 제한이 없으며,
- 구입방법은 ①랜드세일 참여를 통한 구입 및 ②오픈씨 등 NFT 마켓에서 구입하는 방법 2가지
- 랜드세일 참여를 통한 구입은 NFT 마켓에서 구입하는 것보다는 저렴하나 그만큼 경쟁이 치열함 (최근 랜드세일은 서버가 터지는 등 1분 내에 완판되고 있음... 아파트 청약 당첨과 비교하면 이해하기 쉬움..)
- 랜드세일에서 판매하는 1X1 랜드는 1,011 샌드, 프리미엄 랜드는 4,683 샌드로 정액제이며, 이스테이트는 경매 참여를 통해 구입 가능
- 오픈씨 등 NFT 마켓을 통해 구입하는 방법은 시세는 비싸지만 시장에 나와있는 랜드 중 원하는 랜드를 골라서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요즘처럼 NFT 시장이 하락장일 경우 랜드세일 가격보다 저렴하게 줍줍도 가능함
- 랜드세일의 경우 샌드박스 초기에는 라운드 1~4까지 슬라이딩방식의 할인(40%~10%)도 적용되었다고 함
- 당시에 랜드 1개당 가격은 $48.... (라운드1 기준) 3X3 이스테이트는 $250, 6X6 이스테이트는 $933, 12X12 이스테이트는 $3,600 OTL... 과거로 돌아가고 싶네요... 급 FOMO가... ㅋㅋ
- 1x1 랜드의 사이즈는 가로96m, 세로 96m의 정사각형으로 높이는 128m입니다.
- 1㎡는 복셀 기준 32x32x32 입니다.
프리미엄 랜드(Premium Land)
- 프리미엄랜드의 랜드세일 가격은 4,683샌드로 일반 랜드의 랜드세일 가격 1,011샌드의 4배 이상입니다.
- 부동산은 입지! 마찬가지로 샌드박스 유니버스에서의 랜드의 가치도 입지로 가치가 매겨집니다. 샌드박스에서의 입지는 주로 대규모 이스테이트에 바로 인접한 랜드일수록 좋습니다. 대규모 이스테이트의 경우 대부분 파트너 기업에서 투자를 하기 때문에 해당 이스테이트에서의 이용자들이 바로 인접한 랜드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죠 (마치 랜드마크 규모의 쇼핑센터나 이케아가 있는 근처 상권이 살아나는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 일반적으로 랜드세일시에 파트너 기업의 이스테이트 위치가 오픈되는데, 이 때 해당 이스테이트의 인접한 토지들이 프리미엄랜드로 지정이 되고, 프리미엄랜드를 구입시 특별한 NFT 에셋도 함께 제공됩니다.
- 2022 랜드 오너 로드맵에서 프리미엄랜드 오너에 대해 추가적인 혜택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스테이트(Estate)
- 이스테이트는 일반적으로 3x3, 6x6, 12x12, 24x24 사이즈의 대규모 랜드로 소유자는 한 명입니다.
- 향후에는 인접 랜드들끼리 합쳐서 이스테이트를 생성하는 기능도 구현할 예정이라고 하며, 반대로, 이스테이트를 쪼개는 기능(최소 단위인 1x1 랜드까지)도 구현될 예정입니다.(2022 랜드 로드맵 참고)
- 프리미엄랜드의 사이즈는 1X1만 존재하므로, 프리미엄 이스테이트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디스트릭트(District)
- 디스트릭트는 이스테이트처럼 큰 랜드이지만, 소유자가 한 명이 아닌 여러명이 소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이스테이트가 디스트릭트가 되기 위한 조건은 ①이스테이트들이 인접해있어야 하며, ②소유자가 최소 2명 이상이어야 하고, ③각 소유자가 일정 수준 이상의 샌드를 스테이킹해야 하고, ④이스테이트의 소유자들의 투표를 통해 승인되어야 합니다.
랜드 스테이킹(Stake) 및 임대차(Rent)
- 랜드 소유자는 랜드에 샌드를 스테이킹 할 수 있으며, 스테이킹을 통해 샌드, 젬 및 카탈리스트 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랜드 소유자는 보유하고 있는 랜드를 임대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랜드가 없는 게임메이커도 자신의 게임을 임차한 랜드에 퍼블리싱(구현) 할 수 있습니다. 랜드 소유자가 직접 게임을 만들어 본인 소유 랜드에 구현도 가능합니다. (마치 상가 임대차와 비슷한 개념인데요, 본인 소유 상가에 직접 운영을 할 수도 있고, 임차를 줄 수도 있듯이 말이죠)
- 임대차 금액은 랜드 소유자가 정할 수 있으나, 시세보다 높은 가격으로 정할 경우 임대가 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임대차 금액은 입지에 따라 시장에서 시세가 정해질 것이며, 여기서의 입지는 대규모 이스테이트 등과의 접근성, 랜드의 규모 등에 따라 정해질 것입니다.
- 랜드 위에 구현된 게임의 소유권은 게임 창작자가 갖게 되며, 랜드 소유자는 해당 게임에 대해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습니다.
- 임대차 계약이 체결되어 있는 기간동안에는 랜드 소유자는 해당 랜드를 팔 수 없으며, 다른 사람에게 임대 줄 수도 없습니다.
- 샌드박스 메타버스에서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것은 랜드 위에 퍼블리싱된 게임을 통해 P2E를 구현하는 것입니다.
- 아직 확정된 바는 없지만, 한 개의 게임당 32명에서 최대 64명이 동시에 참여할 수 있다고 합니다.
- 랜드 소유자는 게임 콘테스트를 통해 게임 완료 순위 등에 따라 경품 등을 지급하는 방향으로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이동시스템(Transportation System) 및 포탈(Portal)
- 이동시스템의 기본은 인접한 랜드로의 이동만 가능하기 때문에, 대규모 이스테이트에 인접한 토지들의 가치가 높게 평가됩니다. (예를들어 SM타운의 이스테이트에 들어와서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인접한 랜드로 이동할 수도 있고, 맵 검색시에도 SM타운 근처의 맵도 간접적으로 광고가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 포탈은 샌드박스 메타버스 내에 여러 장소에 흩뿌려져 있으며, 멀리 떨어져 있는 랜드도 포탈을 통해 단숨에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초기에는 이러한 포탈들은 샌드박스 또는 파트너사가 보유한 랜드에만 설치가 될 예정이며, 향후에는 랜드 메타버스에 흩뿌려질 예정이라고 함
- 포탈은 에셋의 형태가 아니어서 마켓에서 판매 또는 구입은 불가능함
샌드 토큰
- 샌드토큰은 총 발행량이 30억개로 제한되어 있으며, '24년 말까지 지속적으로 발행될 예정임
- '22.6.11자 기준 유통되고 있는 토큰수는 약 12억 4천만개이며, 시가총액은 약 2조원 수준임
- 전체 암호화폐 시총 순위로는 38위에 랭크되어 있음 (디센트럴랜드는 35위에 랭크, 시총은 약 2.14조원)
- 샌드박스 토크노믹스에는 별도의 소각시스템이 없는 점이 아쉬움
- 랜드판매, 프리미엄 NFT 판매 등을 통해 발생된 샌드 토큰은 50%는 6개월 및 12개월 락업기간을 거쳐 시장에 판매되고, 나머지 50%는 재단으로 귀속되어 랜드스테이킹 보상, 게임메이커펀드 보상 등에 활용되는 구조임
- 설립자와 팀에게 배정된 샌드 토큰 규모는 약 5억 7천만개로 총 발행량의 19% 수준이며, 자문사에게 배정된 샌드 토큰 규모는 3억개로 총 발행량의 약 10% 수준임 (5년동안의 락업기간을 거쳐 시장에 풀릴 예정)
젬(Gems)과 카탈리스트(Catalysts)
- 카탈리스트는 에셋에 희소성 등급을 부여하는 토큰으로 등급은 총 4개(Common, Rare, Epic, Legendary)로 구성되어 있음
- 카탈리스트 등급별로 젬을 꽂을 수 있는 소켓 수량에 차이가 있으며, Common은 1개, Rare는 2개, Epic은 3개 및 Legendary는 4개의 소켓이 부여됨
- 젬은 총 5가지(Power, Defense, Speed, Magic 및 Luck)의 종류가 있으며, 젬 하나당 에셋에 25 능력치 포인트 부여 가능함
- 카탈리스트 최대 소켓수는 4개이므로 젬으로 부여할 수 있는 최대 능력치는 총 100포인트임
게임메이커 펀드
- 샌드박스는 게임 메이커의 창작 지원을 위한 펀드를 운용하고 있음
- 게임메이커 펀드 창작자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샌드박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게임메이커 프로그램으로 게임을 만들어 제출 및 심사 과정을 거쳐 선정되어야 함
- 제출한 게임이 선정되면, 게임메이커펀드에서 게임당 최소 5천불에서 3만불까지 지원을 해주고 있음
폴리곤 마이그레이션
- 이더리움 2.0의 시대가 도래할 예정이지만, 머지 업그레이드가 계속 지연되고 있기 때문에 거래 수수료 절감 및 속도 개선을 위해 폴리곤으로의 마이그레이션을 결정하였고, '22년 6월말까지 완료될 예정임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32199
2022년 랜드 로드맵
2022.06.02 - [비트코인] - 샌드박스(Sandbox) 랜드 오너 로드맵 발표
vs 디센트럴랜드
- 디센트럴랜드는 창작자가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고, 직접 코딩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샌드박스 대비 크리에이터 접근성이 떨어짐 (샌드박스는 복셀만 쌓을 줄 알면되고, 기술보다는 창의성이 더 중요함)
- 디센트럴랜드에는 90,601개의 랜드가 존재하며, 이스테이트, 디스트릭트 등 기본적인 컨셉은 샌드박스와 유사함
- 디센트럴랜드 메타버스에도 렌트와 스테이킹 개념이 존재함
- 디센트럴랜드 투자사에는 애니모카브랜즈, DCG그룹 등이 있으며, 협력사로는 삼성전자, 폴리곤, 소더비 및 한국 정부 등이 있음(샌드박스 투자사에는 애니모카브랜즈, 소프트뱅크 등이 있으며, 협력사로는 워킹데드, 유비소프트, 뽀로로, 스머프, 제페토, 바이낸스, 스눕독, 구찌, 아디다스, 메타콩즈 등이 있음)
- 디센트럴랜드는 커뮤니티에 의해 돌아가는 메타버스로 아직 구체적인 로드맵이 없음
- 디센트럴랜드 토큰(MANA)의 총 발행량은 28억개이나, 랜드 세일 수익으로 토큰 소각을 진행중임
메사리 리포트
반응형
'암호화폐 > 샌드박스(Sandb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년 4분기 및 '22년 1분기 메사리(Messari) 리포트(Feat.샌드박스) (0) | 2022.06.05 |
---|---|
샌드박스(Sandbox) 랜드 오너 로드맵 발표 (0) | 2022.06.02 |
댓글